728x90
최대면적 절반으로 낮춰…주차장 기준도 완화
원룸형과 기숙사형 주택의 최대면적 기준이 절반으로 낮춰진다. 또 주차장 기준도 대폭 완화돼 이들 주택의 건설이 활성화될 전망이다.국토해양부는 1~2인용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새로 도입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설 기준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으로 주택법 시행령 및 주택건설기준 개정안을 재입법예고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150가구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전용 85㎡이하) 주택으로 단지형 다세대, 원룸형, 기숙사형 등으로 지을 수 있다.
국토부는 지난달 도시형 생활주택 도입을 위해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으나 입법예고 이후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면적 기준, 주차장 기준 등을 크게 완화했다.
우선 원룸형과 기숙사형의 최대 면적 기준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원룸형은 12㎡이상-60㎡ 미만으로 입법예고했으나 12㎡이상-30㎡이하로 줄어들고 기숙사형도 8㎡이상-40㎡미만에서 7㎡이상-20㎡이하로 낮아진다.
국토부는 실태조사를 한 결과 대학가 원룸형의 면적은 작게는 8.5㎡, 크게는 30㎡로 파악됐으며 고시원도 3.4~6.5㎡ 수준이어서 면적 기준을 낮추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또 최대 면적 기준이 높으면 서민용으로 허용하는 원룸형.기숙사형이 지나치게 고급화되거나 불법 쪼개기 등이 일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1~2인용 주택 공급 확대 효과 기대
최대 면적기준이 낮아짐에 따라 같은 면적에 지을 수 있는 주택의 수가 많아져 도심에서 1~2인용 주택이 훨씬 많이 공급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아울러 국토부는 원룸형이나 기숙사형의 주차장 기준을 대폭 완화해 주기로 했다.
원룸형의 경우 가구당 0.3대 이상~0.7대 이하에서 0.2대 이상~0.5대 이하로, 기숙사형은 0.2대 이상~0.5대 이하에서 0.1대 이상~0.3대 이하로 완화된다.
또 역세권이나 대학가, 산업단지 주변 등 주차장이 필요하지 않은 지역은 '주차장 완화구역'으로 고시해 200㎡당 1대의 주차장만 확보하면 되도록 하는 특례조항을 두기로 했다.
주차장 기준이 완화되면 사업자의 사업성이 높아지게 돼 건설이 활발해 질 수 있다. 국토부는 재입법예고를 거쳐 5월4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출처 : 지앤지 공인중개사 http://gngon.net
글쓴이 : 지앤지공인중개사 원글보기
메모 :
'부동산 소식(투자정보 및 스크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2차 하락'은 없다 (0) | 2009.03.21 |
---|---|
분양성수기 시작되나? 서울 시프트 봇물 (0) | 2009.03.20 |
돈벌려면, 공인중개사와 친하게 지내라! (0) | 2009.03.18 |
[스크랩] 펜트하우스는 불황 몰라요 2009-02-20 09:49:29.0 (0) | 2009.03.18 |
[스크랩] 상가임대차 보호법의 맹점 (0) | 200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