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소식(투자정보 및 스크렙)

전세찾아 서울 외곽으로 외각으로..강남 재건축 이주 본격화

우리옹달샘 2015. 2. 13. 14:08
728x90
조선비즈 | 김참 기자 | 입력 2015.02.13 10:52 | 수정 2015.02.13 10:52
  • 서울 강남구에 사는 직장인 김영식(34)씨는 아이 보육 문제로 처가 근처에서 살았지만 최근 이사를 하기로 했다. 집주인이 재계약 직전 전세금을 3000만원 올려달라 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전세난이 심해진다는 말에 지난해부터 전세금이 오를 것을 대비했는데, 집주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을 요구했다"며 "월급쟁이가 한 번에 3000만원을 마련하는 게 부담이 돼 차라리 이사 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세난(亂)이 계속되면서 집 없는 서민이 전셋집 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부터 강남에서만 약 1만 2800가구가 재건축으로 인해 이주하게 된다.

    ↑ 서울 송파구 잠실동 부동산중개업소 밀집 상가의 모습./ 조선일보DB

    ↑ 서울의 대표적 재건축 추진 단지인 강동구 둔촌동 주공아파트 일대./ 조선일보DB

    재건축 해당 지역의 경우 이주 수요와 급증하면서 전세난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는 강남 재건축 이주 수요가 강남 이외에 경기도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전세난 도미노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재건축 이주 시작된 강남

    재건축 이주가 예정된 강남구·서초구의 재건축단지 일대는 전세금 상승을 동반한 전세 품귀현상이 시작된 상태다. 전셋집은 매물이 나오기가 무섭게 사라지고 있다.

    특히 개포주공 2단지의 경우 재건축 이주를 앞두면서 전셋집을 구하기가 어려운 상태다. 개포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이 일대 아파트의 경우 중소형 전세는 구하고 싶어도 구할 수가 없다"며 "기존 세입자가 전세금이 오르면서 버티지 못해 나가면, 대기를 걸어뒀던 사람이 바로 현장에서 계약한다"고 말했다.

    일대 아파트의 전세금은 지난달보다 평균 3000만원가량 가격이 오른 상태다. 잠원동 신반포 2차 79㎡의 경우 2억5000만~3억원 선에서 가격이 형성됐었지만 이달 초 3억2000만~3억3000만원까지 호가가 올라 있다.

    잠원동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한양아파트와 신반포 5차 아파트 900가구가 이주함에 따라 나와있는 전세 매물이 거의 없고 이마저도 대기자가 밀려 있다. 지난해 2월 5억원에 전세거래가 있었던 한신 13차 116㎡는 지난달 6억원에 전세가 거래됐다. 현재는 6억~6억5000만원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잠원동 일대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잠원동·반포동 일대의 경우 5월이면 현재 재건축 아파트 이주가 끝나 하반기부터 수요가 줄어 전세금의 상승이 멈출 것"이라며 "현재 전세난은 사실 수요가 부족해 발생한 만큼 뾰족한 수가 없이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 외곽으로 밀려나는 전세 난민 늘어난다

    서울의 전세금이 급등하면서 서울 외곽이나 경기도로 전세 수요자들이 내몰리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전셋집 찾기가 어려워진 주민들은 경기도 하남·광주 지역 등으로 밀려나는 상황이다. 서울의 비싼 전세금을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전세금이 싼 경기도로 빠져나가는 소위 '전세 난민'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114와 업계에 따르면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금은 올 들어 약 0.84% 상승했다. 지난 2013년 1월보다는 19.42% 급등한 것이다. 3.3㎡당 평균 전세금도 1000만원을 넘었다. 지난해 3월 서울의 3.3㎡당 평균 전세가가 1003만원을 기록하며 1000만원을 넘어선 이후 현재는 1047만원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경기지역 평균 분양가인 1051만원(3.3㎡ 기준) 수준이다.

    서울에서 아파트를 인근에 구할 수 없으니 다세대·연립에서 찾을 수밖에 없고, 연립마저 못 구하면 경기도로 이동하면서 연쇄적으로 서울 외곽지역까지 확산되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가 중장기 대책을 제대로 편다 해도 최소한 1∼2년간 전세난이 계속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치솟는 전세금을 안정시킬 대안이 없는데다 저금리 기조 탓에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전세난 해결로 내놓은 임대주택 공급도 당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올해 사업승인이 이뤄진 공공임대가 실제 입주까지는 2~3년이 걸리고 민간 임대주택의 활성화도 말처럼 쉽지 않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현재의 전세난 문제는 해결책이 없다"며 "유일한 방법은 재건축 이주 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으나 조합원에게 무작정 재건축을 연기하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