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지혜-알뜰살뜰-

[스크랩] 관절 통증 치료 방법

우리옹달샘 2010. 11. 4. 01:11
728x90

무조건 안 쓰면 더 빨리 퇴화… 적당한 운동해야

연골의 손상과 보호

  • 잇글링
  • 트위터로 보내기
  • MSN 메신저 보내기
  • 네이트 뉴스알리미
  • 뉴스젯
  • RSS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 스크랩하기
  • 블로그담기
  • 기사목록
  • 글자 작게 하기
  • 글자 크게 하기

입력 : 2010.10.13 08:51

연골의 특성=연골은 70%가 수분이다. 나머지는 콜라겐과 당단백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런 성분이 수분을 함유하고 관절 사이에서 스펀지처럼 충격을 흡수한다. 뼈를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칼슘은 부드러워야 하는 연골에는 거의 없다. 따라서 칼슘을 섭취해도 연골 건강과는 관계가 없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연골은 무릎·엉덩이 관절(고관절) 등의 연골이다. 관절 연골은 세포가 일렬로 배열돼 있는 '초자연골(硝子軟骨)'인데 압박에는 강하지만 잘 찢어진다. 허리디스크나 관절 바깥쪽을 덮어 주는 연골은 세포 배열이 엉켜 있는 '섬유연골'이다. 초자연골과 반대로 잘 찢어지지는 않지만 압박에 약하다. 코 귀 등의 '물렁뼈'는 모양이 잘 변하지 않는 '탄성연골'이다. 모든 연골에는 신경이 없어서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관절이 아플 정도로 연골이 손상됐다면 연골 일부분이 완전히 닳아 없어져서 관절 쪽의 신경이 노출된 상태이다.

또, 연골에는 혈관도 없다. 따라서 다른 장기들처럼 사람이 섭취한 성분을 혈액을 통해 직접 공급받지 못한다. 글루코사민 등 관절에 좋다는 물질이 사실은 효과가 없다는 논란도 근본적으로는 이 때문에 불거진 것이다. 연골은 관절과 닿아 있는 관절막을 통해 영양분을 제한적으로 공급받는다. 관절막에서 분비되는 미량의 끈적끈적하고 투명한 관절액이 영양 공급 통로이다.

퇴화 과정=연골은 성장이 끝난 20대 초반부터 자연스런 노화 과정과 함께 퇴화가 시작된다. 수분이 빠져 나가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딱딱해진다. 따라서 관절을 가만히 둬도 연골은 퇴화된다. 여기에 연골의 직접적인 마모와 관절염을 비롯해 관절에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은 시작점(인대손상, 염증 등)은 다를 수 있지만 결국 연골 손실을 동반한다. 연골은 관절막과 활발하게 접촉해야 영양분을 많이 공급받기 때문에 관절을 아예 쓰지 않으면 퇴화가 더 빨라진다.

일반적으로 40대가 되면 20세보다 연골이 50% 가량 퇴화돼 있다.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 체중을 견뎌야 하는 관절의 퇴화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비만인 사람은 퇴화가 더욱 빨리 진행된다. 체질량지수(BMI)가 정상이거나 약간 뚱뚱한(BMI 0~25) 사람에 비해 비만(26~30)인 사람은 2배, 고도비만(30 초과)인 사람은 3배 가까이 빠르게 연골 퇴화가 진행된다.

보존 방법=노화나 마모에 의한 연골 손실을 막을 수는 없지만, 연골 건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진행을 늦출 수는 있다. 연골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영양분 공급로인 관절막과 마찰하면서 관절액을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적당한 운동은 연골 건강에 필수이다. 문제는 적당한 운동량과 연골을 과도하게 마모시키는 운동량을 구별하는 것인데, 의학적으로 정확한 경계선을 계산해 낼 수는 없다. 또 사람마다 체중이나 관절 상태 등에 따라 똑같은 운동을 해도 연골이 받는 충격은 천차만별이다. 전문의들은 일반적으로 관절이 피로하거나 통증을 느끼지 않는 수준까지 운동을 하면 된다고 조언한다.

인공관절 시술까지 가기 전에 연골을 재생시켜주는 치료법도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의술의 힘으로 재생한 연골은 세포 구조가 마모되기 전과 같은 일렬 배열(초자연골 구조)이 아니다. 섬유연골처럼 엉킨 상태로 배열돼 체중 등의 압박에 약하고, 세포 수명에도 한계가 있다. 의학적인 연골 재생 시술을 받은 사람이 살이 찌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적절한 운동으로 연골 관리를 철저하게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도움말=채인정 고대안암병원 정형외과 교수, 양익환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교수, 김형수 명지병원 진료부원장
/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pnh@chosun.com

 ================================================================

연골 손상 초기인 경우 자기 피 뽑아서 연골세포 재생

연골질환 비수술 치료

  • 잇글링
  • 트위터로 보내기
  • MSN 메신저 보내기
  • 네이트 뉴스알리미
  • 뉴스젯
  • RSS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 스크랩하기
  • 블로그담기
  • 기사목록
  • 글자 작게 하기
  • 글자 크게 하기

입력 : 2010.10.13 08:50

관절 연골이 마모된 부위에 자가혈소판(PRP) 주사를 맞으면 부작용 없이 연골이 재생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연골의 퇴화를 늦출 수 있다. / 연세사랑병원 제공
무릎이나 엉덩이의 퇴행성 관절염이 심해져 연골이 너덜너덜해진 상태라면 인공관절로 갈아 끼우는 것이 최후의 방법이다. 하지만 연골이 아직 남아 있는 상태라면 주사, 초음파, 연골 세포의 활성화를 도와서 연골을 재생하고 기능을 정상에 가깝게 만드는 비수술적 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자가혈소판 주사로 연골 재생

'자가혈소판(PRP) 주사'로 연골을 재생하는 방법이 활발히 시술되고 있다. 병원에 따라 '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요법'이라고도 부른다. 우선 환자의 혈액 20~30㏄를 뽑아 원심분리기로 돌린다. 그러면 혈액이 혈장, 혈소판, 혈구로 나눠지는데 이 중 2~3㏄의 혈장만 추출해 환자의 관절에 1주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한다. 주사를 맞으면 2시간 안에 혈장에 포함된 혈소판이 성장 인자를 분비하기 시작해 연골 세포를 증식시킨다. 자기 피를 뽑아 주입하므로 부작용이 없고, 남아있는 연골의 손상도 억제한다. 효과는 1년 정도 지속된다. 권오령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센터 소장은 "PRP 주사는 퇴행성 관절염 말기보다는 연골이 손상되기 시작한 초·중기나 운동하다가 연골을 다친 사람에게 효과가 좋다"며 "주사를 맞고 4주 정도 지나면 통증이 완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70~ 80% 정도에게 동반되는 휜 다리를 정형외과적인 시술로 펴 주지 않고 단순히 연골만 재생해서는 관절염 증상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시각도 있다.

이 밖에 관절염 약물 치료를 하면서 히알루론산 주사를 맞으면 관절 연골을 보호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 성분이 관절 연골을 감싸주며, 관절 연골의 변형을 어느 정도 억제해 준다. 다만 이 주사는 연골 자체를 재생시켜 주지는 않는다. 흔히 '뼈 주사'라는 별칭으로 부르는 스테로이드제 주사는 관절통을 일시적으로 완화시켜 주지만 연골의 변형을 초래하고 골다공증을 악화시키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

>>체외충격파로 염증과 통증 개선

체외충격파 시술은 연골 손상에 따른 관절염에 대한 보완적인 치료로 많이 사용한다. 연골이 손상된 병변 주위에 초음파를 쏘아 염증을 완화하고 신경을 둔감하게 만들어 통증을 감소시킨다. 하철원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마그네틱 파장을 환부에 정확하게 쏘기 때문에 집중적인 치료 효과가 나타나며, 1회에 20∼30분씩 서너 번 시술받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연골 자체를 재생시켜주는 치료법은 아니다.

>>줄기세포 치료법도 개발 중

최근에는 관절의 활막(관절을 싸고있는 얇은 막)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배양해 손상된 관절 연골을 치료하는 새로운 연골이식용 혼합세포체 개발이 국내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정익 건국대 의생명과학연구원 교수팀은 "활막 조직에서 채취한 줄기 세포를 연골 세포와 혼합시킨 결과 연골 세포만 배양했을 때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증식했다"며 "연골 재생능력이 떨어진 고령 환자에게 이 방법을 쓰면 신속하고 광범위한 연골 재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김태열 헬스조선 기자 kty@chosun.com

================================================================

 

출처 : 중앙부동산경제연구소
글쓴이 : 배재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