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방-약초모음

[스크랩] 송이 버섯의 효능.......

우리옹달샘 2010. 5. 10. 01:59
728x90

송이버섯의 효능

 

 

 



송이(학명:Tricholoma matsutake)는 주름버섯목 송이과로서 크기는 갓 지름 8∼20cm, 자루 길이 10cm, 굵기 2cm 내외이며, 주로 20~60년생 소나무 숲 땅 위 에서 서식하며, 분포지역은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이나 한국, 중국, 일본 외에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지 않다.
송이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신라 성덕왕 3년(704)에 송이를 왕에게 진상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며, ‘송이의 맛은 무독하며, 맛이 달고 솔 향이 짙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송이는 맛뿐만 아니라 질병치료에 사용되기도 했는데 「조선왕조실록」에 ‘세종 원년에 명나라에 송이를 보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송이에 효능에 대한 기록은 허준의 「동의보감」에 자세하게 나와 있는데, ‘송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매우 향기롭고 솔 냄새가 난다. 이것은 산에 있는 큰 소나무 밑에서 솔 기운을 받으면서 돋는 것으로 버섯 가운데 제일이다.’라고 기록되어있다.

  ♣ 항암효과

송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버섯 가운데 항암 효과가 제일 높은 버섯의 하나로써, S대학 연구기관에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동물실험에 투여한 후 9일째부터 종양이 소실됨을 발견하였고 투여 농도에 따라 종양 손실 정도가 비례하였음을 밝혀냈다.
또한, 송이버섯 균사체 내에 있는 다당체(polysaccharides)성분은 항종양물질에 대해서 강력한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병에 대한 저항력 강화의 효과를 가진다고 한다.
송이버섯에 들어 있는 다당류 성분인 β-1 4-16 글루칸은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1백 퍼센트의 항암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또 송이버섯을 달인 물을 암에 걸린 흰쥐에게 먹였을 때 암을 91. 3퍼센트 억제하거나 파괴했다고 한다.

  ♣ 성인병치료

송이에는 혈중 콜레스테롤 억제효과, 혈액순환증진(손 발 저림, 허리와 무릎 시림 치료),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고지혈증 등 성인병 치료의 효과가 있으며, 송이버섯의 단백질과 비타민 성분은 편도선, 유선염, 탈하증 등에 효과가 있음을 실험결과 나타났다고 한다.

  ♣ 건강식품으로의 송이

송이의 주요성분 중 유리 지방산에는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지방산의 82.6∼86.7% 범위로 다른 식품에 비해 매우 높게 존재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무기질 함량은 일반 버섯류에 비하여 타 버섯류와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인 버섯의 대표적인 무기질인 칼륨(K)은 느타리의 10배, 양송이의 약 40배 정도, 목이버섯의 약 3배 정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철분 또한 타 버섯류와 10배 정도로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

 

송이버섯이 자생하는 환경

 

 

 

 

 송이버섯은 소나무 집단자생지에서 송이버섯포자가 떨어져서
자랍니다. 그러나 소나무라도 다 자랄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오랜시간동안 소나무의 퇴적지역이 있어야하고 소나무의 품종과
온도,습도가 꼭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강원도의 북쪽인 고성군,양양군,인제군등지
에 자생합니다.
강원도도 몇년전 대규모 산불로 인해서 많은 송이버섯자생지가
사라졌답니다.

버섯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온도
버섯 발생 및 생장의 최적 온도는 15∼25℃인데 일반 가정의 평균 실내 온도가 18∼22℃이므로 조건 충족. 여름 버섯, 겨울 버섯의 구분이 있긴 하지만 가정에서 병 재배하는 품종은 크게 상관이 없다. 단, 고온일수록 빨리 자라고 저온에서는 단단해진다고.

습도
균사에서 처음 버섯 뿌리가 나올 때에는 90∼95%, 버섯이 자라는 동안에는 75∼85%의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건조하기 쉬운 집안에서는 가습기를 틀어놓거나 욕실에서 키우는 방법도 있지만 어항이나 플라스틱 통에 물을 받아서 키우면 된다.

환기
버섯 발생 이후 생장 단계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으면 버섯의 색이 누렇게 변하면서 말라죽는다. 계속 자란다 해도 모양이 기형적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하루에 1∼2회 재배 상자의 뚜껑을 열고 5분 정도 환기를 시켜주도록.


빛이 약하면 버섯이 발생하지 않거나 대가 길고 색이 연해 모양새가 볼품 없는 버섯으로 자란다. 신문을 읽을 수 있는 정도의 밝기면 적절. 단, 직사광선을 쐬면 버섯균이 죽어 버리므로 베란다나 창가에서 버섯을 키우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느타리버섯의 일종이나 일반 느타리보다 굵고 튼튼하며 자라는 시간이 길다. 배지에서 버섯 발생까지 20일 정도(다른 버섯은 보통 3∼4일). 버섯이 제대로 자라는 것인지 눈으로 확인할 수가 없어 답답하겠지만 인내를 갖고 기다리면 균사에서 기둥이 올라오는 모습을 어느 버섯보다도 확실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새송이버섯은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므로 물뿌리개로 배지 깊숙이 물을 주고 털어내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재배 포인트.

크기가 작아 배지의 표면에서 350∼450개 정도 자라는 팽이버섯은 일괄적으로 균일하게 나와야 보기에도 좋고 먹기도 좋다. 따라서 팽이버섯이 병 입구에서 1∼2cm 정도 올라오면 하루 정도 냉장고에 옮겨 생장을 억제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냉장고에서 꺼낸 팽이버섯의 배지에는 옆으로 퍼지지 않고 위로 곧게 자라도록 부직포나 종이 봉지를 씌운다. 갓의 직경이 1cm, 줄기의 길이가 11∼13cm가 되면 잘라 먹는다.
장수 상황버섯이란?

이 버섯은 고온 다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고온성의 진흙버섯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견 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열대성 지방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는 버섯이다. 현재 대다수 유통되고 있는 버섯으로 특히 안동지방에서 처음 인공재배가 시작되어 지금은 이 버섯이 주종을 이루고 여러 농가에서 재배 생산하고 있다.
『본 농장에서도 대량 생산하고 있으나 뽕나무에는 버섯생육 상태가 불량하여 참나무등의 활엽수에
잘자라는 특성이 있어 주로 참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재배를 하고 있는 장수상황버섯이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에서 자라는 버섯입니다. 자작나무는 북위 45도이상 되는 지역의 추운 지역에서 잘자라는 활옆수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작나무가 북위 40도 이상 북한의 고원 지역에서는 많은 개체는 아니지만 자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작나무의가 많은 군락을 일루며 서식하는 지역은 캐나다와 러시아의 ( 시베리아 캄차카직역 ) 걸친 넓은 지역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출처 : 蘭과함께 향심난우회 애란인의 쉼터
글쓴이 : 香心 원글보기
메모 :